class="list-type-thumbnail 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promotion-mobile-hide">
본문 바로가기

[준항고] 경찰 또는 검찰 수사 조치가 이미 이루어진 경우 다툴 수 있는 방법?

행복여인32 2024. 8. 28.
728x90

준항고로 자신의 권리를 보호하자 

 

준항고는 형사소송 절차에서 피고인과 이해관계인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법적 수단입니다. 이를 통해 수사기관의 부당한 처분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법적 안정성과 공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준항고를 적절히 활용하기 위해 준항고의 요건 중 불복 대상 및 법률적 이해관계를 잘 이해하고 절차를 지켜서, 필요한 경우 적시에 이를 제기하는 것이 형사소송에서 자신의 권리를 보호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입니다.

 

 

수사기관의 처분에 대한 합법적인 불복 수단

 

준항고는 형사소송법에서 보장하는 불복 법적 수단 중에 하나입니다. 형사소송 절차에서 수사기관의 구금, 압수 또는 압수물 환부에 관한 처분과 피의자 신문 시 변호인 참여 등에 관한 처분에 불복이 있는 경우 준항고를 제기하여 해당 처분의 취소 또는 변경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수사기관의 처분에 대해서도 준항고를 제기할 수 있다는 점이 포인트입니다. 

 

위법한 수사행위를 통제하기 위한 법원칙 외에 실제로 수사기관에 의해 처분이 이루어진 경우 유일한 불복방법이 준항고인것입니다. 

 

준항고 요건 

 

준항고를 아무렇게나 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일정한 요건을 갖춘 때에만 준항고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수사기관에 대한 준항고를 제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불복의 대상: 준항고의 대상이 되는 것은 수사기관(검사 또는 사법경찰관)의 구금에 관한 처분, 압수 또는 압수물환부에 관한 처분, 피의자 신문 시 변호인 참여등에 관한 처분입니다. 예를 들어, 압수수색영장의 집행, 긴급압수, 압수물의 환부 결정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법률적 이해관계: 준항고는 단순히 불복의 대상이 되는 처분이 부당하다고 느낀 모든 사람이 제기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처분으로 인해 직접적인 법률적 이익이 침해되었거나 불이익을 입은 자만이 준항고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수사 처분의 취소나 변경을 구할 이익이 있는 자여야 합니다. 즉, 준항고를 제기할 수 있는 자는 피의자, 피고인, 또는 기타 이해관계인입니다.

 

단 경찰은 검사의 수사상 처분에 대해서는 준항고가 불가능합니다.

 

좀 특이한 사항은 피의자신문참여권을 제한하는 처분이 이루어진 경우 이에 대하여 법무법인의 담당변호사가 준항고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법무법인 자체만이 준항고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적법한 제기 기간: 수사기관의 처분에 대한 준항고의 경우에는 제기기간에 대한 특별한 규정이 없습니다.

 

준항고의 절차

 

준항고의 절차는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준항고의 제기: 준항고는 처분이 이루어진 곳을 관할하는 법원이나 검사의 소속검찰청에 대응한 법원에 서면으로 제기해야 합니다. 준항고장에는 처분의 내용, 준항고 사유, 구체적인 법적 근거 등을 명확히 기재해야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준항고 사유가 법률적으로 타당하게 제시되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법원의 심사: 준항고가 제기되면 법원은 해당 사안을 심사합니다.

 

수사기관의 처분에 대한 준항고 사건의 경우 법원조직법상 단독판사가 심판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단독판사는 준항고의 타당성을 검토한 후, 필요한 경우 석명권을 행사하여 관련 자료를 추가로 제출받거나 당사자들의 진술을 청취할 수 있습니다.

 

준항고가 타당하다고 판단될 경우 해당 처분을 취소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법원이 준항고를 기각할 경우(기각결정), 해당 처분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결정의 통지: 법원은 준항고에 대한 결정을 내린 후, 그 결과를 준항고 제기자에게 통지합니다. 이때 법원의 결정에 따라 처분이 취소되거나 변경될 경우, 해당 처분을 내린 기관은 즉시 그에 따라야 합니다.

 

결정에 대한 이의 제기: 기각결정 및 취소결정에 대해 헌법, 법률, 명령, 규칙 위반이 있음을 이유로 하는 때에 한해 대법원에 재항고가능합니다. 단, 7일 이내에 제기해야 합니다. 

 

준항고의 효과

 

준항고는 형사소송 절차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우선, 피고인이나 기타 이해관계인은 수사기관의 부당한 처분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이는 권리 보호의 차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법원이 준항고를 취소 또는 변경할 경우, 부당한 처분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는 길을 열어줍니다.

 

또한, 준항고는 법적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도 합니다. 수사기관의 처분이 모두 법적으로 타당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준항고를 통해 이를 재검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법적 판단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전체적으로 형사 절차의 공정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728x90

댓글